hanja.dict.naver.com/search?query=%E7%89%9B%E8%80%B3
①쇠귀
「쇠귀에 경 읽기」란 뜻으로, 우둔(愚鈍)한 사람은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비유(比喩ㆍ譬喩)하여 이르는 말. 牛耳彈琴
쇠귀에 경 읽기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어리석은 사람은 아무리 가르쳐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우이를 잡다; 좌지우지하다; (한 당파 또는 단체의) 지배자가[중심인물이]되다; 주름잡다.

'쇠 귀, 말 귀'는 머리에 우뚝 솟은 귀처럼,
어떤 분야의 매우 뛰어난 사람을 이른다.
그렇다면 우리가 알고 있던 이 속담
'쇠귀에 경 읽기'는...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고
이미 사서오경에 통달한 사람을 이르는 것은 아닐까.
제갈공명은 바람을 느끼고 판단하였다.
馬耳東風, 말도 바람을 느끼며 모두 알고는 있지만
단지, 사람의 말로 표현하지 못할 뿐,
학자 앞에서 문자를 쓴다, 뻔데기 앞에서 주름잡는다....
이미 통달하였지만 너그럽게 들어주는,
그래서 미소지으며 듣기만 할 뿐인 이 학자를
한편으로는 다른 의견에도 창의력이 있다싶어 듣고 있는 이 학자를
우리는 어리석어서 모르는 줄 알았던 것은 아닐까.
아이 고3 때였다.
책을 많이 읽던 아이는 국어 성적이 늘 3등급이었다.
수능일이 다가오면서 고민하는 아이에게
'혹시, 문제 풀을 때 한 번 나온 답이 있는데 세 번 생각한 것은 아니니?
고쳐 쓴 것은 아니니? 한 번만 생각하고 답을 선택해 봐. 너무 깊이 생각하면 틀려.'
그렇게 한 번만 생각해서 선택한 답은 1등급이 나왔다.
남들처럼 생각하고 남들처럼 판단하는 것.
나는 오늘도 또,
세 번을 생각해들어가는 바람에 또 틀린 답일지도 모른다.
'서예 > 늦깎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무와부득의' 검색 ('청산은 나를 보고' 카페에서 모셔옴) (0) | 2020.09.09 |
---|---|
북위해서 뭍 륙 陸 (0) | 2020.08.29 |
고문진보 해제 - 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종합DB (0) | 2020.01.21 |
새해 해맞이의 정체 - 한국고전번역원 (0) | 2020.01.01 |
제 37회 국제서법예술연합 전국휘호대회 - 11월 16일 국서련휘호대회 (0) | 2019.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