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자방고전 풀이

책만 보는 주부

서예 347

왕탁증탕약망시,장입작성,서화수견,고적..(2007.5~ 2008.9)

탕약망(湯若望, 1591~1666)은 독일 쾰른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로 명말 청초에 서양의 역법을 중국에 도입하는 과정에서 큰 역할을 했다. 명 말 숭정 연간에 서광계 등이 서양 역법서들을 한역하여 『숭정력서』를 편찬하는 데 참여했으며, 청나라가 들어선 후 이것을 재정리해서 『서양신법력서』를 편찬했다. 이 책을 바탕으로 해서 이전의 대통력이 시헌력으로 개력되었다. 1645년 무렵부터 흠천감의 책임자가 되어 신법인 시헌력의 시행을 이끌었다. 원명은 ‘Johann Adam Schall von Bell’이다. 탕약망사건-소위순치제독살사건 http://blog.daum.net/shanghaicrab/3416190

서예/법첩임서 2011.10.08

광개토대왕비(2007.11)

광개토대왕비는'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비'라는 명칭이 새겨져 있다.서예학과 석사논문으로훈민정음 서체와의  관련성을 찾아보았고관련 연구서와 논문을 도표로 만들어 명칭문제를 탐구하며후에 연구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이 글씨는 가분수 형태를 갖고 있고올바른 탁본 교재를 찾기가 무척 어럽다.우리나라의 다른 비석들도 우리나라에 흔한 화강암 재질로 된 것이 많아서 마모가 심해 그 역사성과 예술성에도 불구하고 교습자료로 삼기가 무척 어렵다.떨어져 나간 획들을 추정해서 탁본을 수정해 서예교습 자료로 삼으니 오류가 많다. 깨끗하고 새까맣고 보기 좋은 교재는우선 버려야 한다.

서예/법첩임서 2011.07.25

홍차기효자비(2007.7)

https://portal.nrich.go.kr/kor/ksmUsrList.do?menuIdx=584 시대 조선 연대 1795년(정조19년) 유형/재질 비문 / 돌 문화재지정 비지정 크기 높이 95cm, 너비 47cm, 두께 17cm 출토지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소재지 (한국)성균관대학교 박물관-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3가 성균관대학교 서체 해서(楷書) 찬자/서자/각자 이가환(李家煥) / 미상 / 미상 홍차기(1759~1772년)는 자가 양여로 교리 홍중현(洪重鉉 : 1660~1726년)의 손자요, 인보(寅輔)의 아들이다. 살인죄로 옥에 갇힌 아버지의 구명을 위해 충주와 서울을 왕래하며 신문고를 울리고 임금에게 호소하였다. 아버지는 목숨을 구했으나 결국 홍차기는 열네살로 죽고 말았다. 당대의 석..

서예/법첩임서 2011.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