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자방고전 풀이

책만 보는 주부

서예/늦깎이 공부

한화공구서고 - 참고 문헌

雅嵐 2023. 10. 10. 04:27

 

궁금한 것이 여기에 다 있다.

보고 또 보고 파내도 자꾸 발견이 된다.

글자는 참으로 아름답다.

나는 아무래도 200년 전의 누구였던가...

2014년 10월 부터 글씨도 저리 내던져 놓고 이걸 파고 있다.

지금은 2023년 10월 한글날.

 

'ㅃ'과 'ㅇ'이 보인다.

숨은그림 찾기. 

언문 자음과 모음을 모두 찾아라.

 

 

中華漢語工具書書庫.1-100

 

비치일 : 20050105 청구기호 : 018-4-2-1-100

자료이용장소 : 국립중앙도서관 4층 도서자료실(서고자료대출반납)

 

표제/저자사항中華漢語工具書書庫.1-100/ 李學勤 主編; 中華漢語工具書書庫編輯委員會 編 이학근 중화한어공구서서고편집위원회

 

발행사항合肥: 安徽敎育出版社, 2002

 

형태사항100; 27cm

 

주기사항내용:

1, 蒼頡篇 ; 急就篇 ; 急就篇合校 ; 玉篇 ; 玉篇殘卷 ; 班馬字類 ; 字通 ; 龍龕手鑒. - 2, 類篇. - 3-4, 正字通(1)-(2). - 5, 正字通(3) ; 字彙(1). - 6, 字彙(2) ; 字彙補. - 7-9, 康熙字典(1)-(3). - 10, 四書字詁. - 11, 群經字詁 ; 刊謬正俗 ; 干祿字書. - 12, 五經文字 ; 九經字樣 ; 佩觿 ; 復古篇 ; 續復古篇 ; 字鑒 ; 增廣字學舉隅 ; 碑別字.

 

- 13, 六書故. - 14, 六書統(1). - 15, 六書統(2) ; 六書本義 ; 六書總要 ; 六書溯原直音 ; 諧聲指南 ; 六書通(1). - 16, 六書通(2) ; 六書準 ; 六書系韻(1). - 17, 六書系韻(2). - 18, 六書系韻(3) ; 助語詞 ; 助字辨略 ; 虛字說 ; 經傳釋詞 ; 經詞衍釋 ; 恒言錄.

 

- 19, 說文解字 ; 說文解字通釋. - 20, 說文解字韻譜 ; 說文字原 ; 說文長箋(1). - 21-22, 說文長箋(2)-(3). - 23, 惠氏讀說文記 ; 說文解字注(1). - 24, 說文解字注(2) ; 說文解字讀(1). - 25, 說文解字讀(2) ; 說文解字義證(1). - 26, 說文解字義證(2). - 27, 說文解字義證(3) ; 說文解字斠詮(1). - 28, 說文解字斠詮(2) ; 說文新補新附考證 ; 說文解字群經正字 ; 說文校義(1). - 29, 說文校義(2) ; 說文五翼 ; 說文段注訂補 ; 說文聲類 ; 席氏讀說文記(1). - 30, 席氏讀說文記(2) ; 說文假借義證(1). - 31, 說文假借義證(2) ; 說文解字句讀(1). - 32, 說文解字句讀(2) ; 說文釋例(1). - 33, 說文釋例(2) ; 文字蒙求, 說文通訓定聲(1). - 34, 說文通訓定聲(2). - 35, 說文引經考異 ; 說文逸字 ; 說文新附考 ; 說文外編 ; 說文佚字考 ; 說文二徐箋異 ; 說文解字注箋(1). - 36, 說文解字注箋(2). - 37, 說文解字注箋(3) ; 小學答問.

 

- 38, 汗簡 ; 古文四聲韻 ; 隸釋 ; 隸續 ; 漢隷字源. - 39, 鐘鼎字源 ; 摭古遺文 ; 草字匯 ; 隸法彙纂, 隸辨(1). - 40, 隸辨(2) ; 隸釋刊誤 ; 楷法溯源 ; 金石大字典(1). - 41, 金石大字典(2) ; 四體大字典(1). - 42, 四體大字典(2) ; 古籀彙編. - 43, 爾雅, 爾雅註疏, 爾雅新義, 爾雅圖, 爾雅正義(1). - 44, 爾雅正義(2) ; 爾雅義疏. - 45, 爾雅匡名 ; 爾雅直音 ; 小爾雅 ; 小爾雅疏 ; 小爾雅義證 ; 小爾雅約注 ; 小爾雅訓纂 ; 廣雅 ; 博雅音 ; 廣雅疏義(1). - 46, 廣雅疏義(2) ; 廣雅疏證(1). - 47, 廣雅疏證(2) ; 廣雅疏證補正 ; 埤雅 ; 爾雅翼(1). - 48, 爾雅翼(2) ; 騈雅 ; 通雅(1). - 49, 通雅(2). - 50, 通雅(3) ; 別雅 ; 續廣雅 ; 支雅 ; 說雅 ; 比雅 ; 拾雅(1). - 51, 拾雅(2) ; 湖雅 ; 疊雅 ; 釋名 ; 釋名疏證補 ; 廣釋名. - 52, 經典釋文 ; 三經音義 ; 一切經音義(慧琳). - 53, 一切經音義(玄應1) ; 一切經音義(玄應2). - 54, 一切經音義(玄應3) ; 飜譯名義集. - 55-58, 經籍纂詁(1)-(4). - 59, 廣韻 ; 集韻 ; 禮部韻略 ; 韻鏡 ; 韻補. - 60, 四聲全形等子 ; 五音集韻 ; 古今韻會舉要(1). - 61, 古今韻會擧要(2) ; 切韻指南 ; 中原音韻 ; 洪武正韻. - 62, 洪武正韻彙編 ; 音聲紀元 ; 韻略易通 ; 毛詩古音考 ; 音韻日月燈(1).

 

- 63, 音韻日月燈(2) ; 五方元音. - 64, 音韻闡微 ; 八矢注字說 ; 古韻標準 ; 詩詞通韻 ; 音韻淸濁鑒. - 65, 音韻須知 ; 圓音正考 ; 等韻精要 ; 韻岐 ; 諧聲譜 ; 詞林正韻. - 66, 古今韻準 ; 古韻發明 ; 詞律. - 67, 詞律拾遺 ; 詞譜(1). - 68, 詞譜(2) ; 太和正音譜 ; 欽定曲譜. - 69-70, 九宮大成南北詞宮譜(1)-(2). - 71, 九宮大成南北詞宮譜(3) ; 聲調三譜. - 72, 方言 ; 方言據 ; 越語肯綮錄 ; 續方言 ; 方言疏證 ; 方言疏證補 ; 吳下方言考 ; 續方言補證 ; 續方言疏證 ; 續方言又補 ; 方言別錄 ; 續方言新校補 ; 廣續方言 ; 廣續方言拾遺 ; 新方言.

 

- 73, 元和姓纂 ; 自號錄 ; 實賓錄 ; 古今姓氏書辨證. - 74-76, 萬姓統譜(1)-(3). - 77, 同姓名錄 ; 尙友錄(1). - 78, 尙友錄(2) ; 別號錄 ; 甘一史四譜(1). - 79, 甘一史四譜(2). - 80, 史姓韻編. - 81, 九史同姓名略. - 82, 疇人傳 ; 續疇人傳 ; 疇人傳三編 ; 疇人傳四編 ; 歷代職官表. - 83, 直齋書錄解題 ; 郡齋讀書志 ; 四部正訛 ; 錢遵王讀書敏求記校證(1). - 84, 錢遵王讀書敏求記校證(2) ; 經義考(1). - 85, 經義考(2). - 86, 經義考(3) ; 天祿琳琅書目. - 87, 天祿琳琅書目續編 ; 清代禁毀書目四種 ; 禁毁書目 ; 小學考(1). - 88, 小學考(2) ; 四庫未收書提要 ; 鄭堂讀書記(1). - 89, 鄭堂讀書記(2). - 90, 鄭堂讀書記(3) ; 鐵琴銅劍樓藏書目錄 ; 書目答問 ; 雅學考. - 91, 救荒本草 ; 廣群芳譜(1). - 92, 廣群芳譜(2) ; 植物名實圖考(1). - 93-94, 植物名實圖考(2)-(3). - 95, 植物名實圖考(4) ; 蠕範. - 96, 考古圖 ; 宣和博古圖(1). - 97, 宣和博古圖(2) ; 兩漢金石記 ; 寰宇訪碑錄. - 98, 補寰宇訪碑錄 ; 攈古錄金文 ; 金石索(1). - 99, 金石索(2) ; 泉志 ; 古金待問錄 ; 古泉匯(1). - 100, 古泉匯(2) ; 續泉匯 ; 物理小識

 

----------------------

 

참고문헌

 

<고전 및 기본 자료와 도판>

 

훈민정음, 원본영인 한국고전총서(복원판) 1. 어학류, 대제각, 1973.

훈몽자회, 원본영인 한국고전총서(복원판) 1. 어학류, 대제각, 1973.

신숙주 외, 홍무정운 역훈DB, 고려대학교, 1455.

원문 중세국어, 어문교육연구회 편, 대제각, 1982.

최석정명곡집, 이유원가오고략』『임하필기, 한국고전번역원 DB, 한국고전번역원.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 DB, 국립국어원, 2018, 2021.

우리말큰사전, 한글학회 편, 어문각, 1992.

자전석요국립중앙도서관DB, 지석영, 발행처 불명, 1906(서문).

신자전국립중앙도서관 DB, 조선광문회, 신문관, 1915.

조선어사전국립중앙도서관 DB, 조선총독부, 1920.

동아새한한사전, 두산동아 사전편찬실 엮음, 1997.

한어대사전DB, 羅竹風 주편, 상해사서출판사, 2000.

중화한어공구서서고, 李學勤 주편, 안휘교육출판사, 2002 : 趙撝謙 육서본의, 趙宦光 설문장전, 徐灝 설문해자주전, 玄應 일체경음의().

설문해자집주, 張人傑 편찬, 유예 심정, 상해고적출판사., 1996

설문해자 주, 단옥재(段玉裁), 예문인서관, 1999.

고주편, 古田忠周 찬술, 간사자 미상, 1925.

전예대자전, 미술문화원 편집부, 미술문화원, 1986.

고전문자자전, 師村妙石 , 동방서점(동경), 1990.

석고문宣王 각석(至元己卯:1279 ), 간사자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실.

청 임석고문, 吳昌碩 서품총간 1, 운림당 편, 1975.

전서석고문, 서예기법시리즈 14, 시청각교육사 서예교육부 편저, 시청각교육사, 1985.

벽락비 술론, 范業俊, 삼진출판사, 2015.

 

<단행본>

 

강신항, 훈민정음(한글) 창제와 연구사, 경진, 2011.

강헌규 신용호, 한국인의 . 연구, 계명문화사, 1990.

권덕규, 조선어문경위, 국립중앙도서관 DB, 광문사, 1923.

ㅡㅡㅡ, 조선유기, DB, 상문관, 1924.

김삼수, 한국사회경제사 연구-계의 연구, 박영사, 1974.

류시현, 최남선 평전, 한겨레출판, 2011.

명호인, 한국저작권법, 육법사, 2012.

박형익, 한국자전의 역사, 역락, 2012.

신춘희, 자방고전 풀이』–세종실록14431230일 기사 방고전해석을 통한 언문 창제 과정 연구, 잉크북, 2021.

안자산, 정음, 조선어학연구회, 1938.

이상규, 명곡 최석정의 경세훈민정음, 역락, 2018.

이상혁,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4.

이성구, 훈민정음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DB, 동문사, 1985.

이형상, 김언종 김남형 김봉남 양원석 안세현 옮김, 역주 자학, 푸른역사, 2008.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1, 시공사, 2008.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책과함께, 2011.

최현배, 한글갈국립한글박물관 도서관 복제본, 정음문화사, 1940.

홍기문, 정음발달사, 국립중앙도서관 DB, 서울신문사, 1946.

ㅡㅡㅡ, 이상규 천명희 왕민 짱쩐 주, 증보정음발달사, 역락, 2016.

홍윤표, 한글이야기 1, 2, 태학사, 2013.

홍현보, 언문 : 144312월 임금이 친히 언문 스물여덟 자를 만들다, 이회문화사, 2019.

 

經本植, 고한어문자학의 기초, 김현철 김애영 민재홍 유성은 신지언 공역, 신아사, 2000.

唐蘭, 오만종 김미성 박정희 공역, 중국문자학, 전남대출판부, 2017.

王國維, 하영삼 역, 관당집림,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李學勤, 하영삼 옮김, 고문자학 첫걸음, 동문선, 1995.

陳緯湛 唐鈺明, 강윤옥 옮김,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 현학사, 2005.

曹先擢, 송강호 역, 중국어 한자의 어원, 지식과교양, 2011.

胡奇光, 이재석 옮김, 중국소학사, 동문선, 1997.

黃德寬 陳秉新, 하영삼 옮김, 한어문자학사, 동문선, 2000.

 

<논문류>

 

강남욱, 諺文正音의 문헌 기록 양상으로 본 새 문자 창제 의의에 대한 재해석, 어문연구44권 제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강헌규, 의 어원, 국어학논문집-범산 강헌규 교수 화갑기념, 공주대학교 출판부, 2000.

고영근, 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이종일 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 새국어생활13권 제1, 국립국어원, 2003.

권덕규, 정음이전의 조선 글, 국립중앙도서관 DB, 한글1권 제1, 한글학회, 1927.

ㅡㅡㅡ, 훈민정음의 연혁, DB, 월간잡지 조선어, 조선어연구회, 1927.

권성기, 훈민정음 자형 기원에 관한 일고찰-초성 5자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1, 1982.

김영미, 훈민정음, 정음, 언문의 명칭 의미, 인문과학연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4, 2015.

김주필, 근대 언어와 매체의 다층성 : ‘한글’(명칭) 사용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반교어문연구35, 반교어문학회, 2013.

명혜정, 현응일체경음의의 설해 연구 : 설문인용문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중어학 박사, 2010.

백두현, 한국어 문자 명칭의 역사적 변천, 문화와 융합26, 문학과언어연구회, 2004.

안자산, 諺文起源其價値, 조선, 국립중앙도서관 DB, 조선총독부, 1931.

ㅡㅡㅡ, 諺文名稱論」「諺文文化 及 民族性, 정음, DB, 조선어학연구회, 1938.

유창균, 상형이자방고전에 대하여, 이기문 편 국어학논문선7-문자, 민중서관, 1977.

이기문, 에 관한 단상장암 지헌영 선생 고희 기념 논총, 국어국문학86, 국어국문학회, 1981.

이병근, 조선총독부 편 조선어사전의 편찬 목적과 그 경위, 진단학보59, 진단학회, 1985.

이상혁, 언문과 국어의식-중세와 실학 시대의 훈민정음언문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국어국문학121, 국어국문학회, 1998.

임홍빈, 주시경과 한글 명칭, 한국학논집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6.

ㅡㅡㅡ, 한글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고영근(2003)에 답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연구353, 2007.

전병선, 조선에서 한자를 쓰지 않게 된 경위와 한문교육, 국립중앙도서관 DB, 중국조선어문2001년도 제2, 길림성 민족사무위원회, 2001.

하강진, 한국최초근대자전국한문신옥편의 편찬 동기, 한국문학논총41, 한국문학회, 2005.

홍윤표, 한글에 대한 연구과제,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기념 국제학술대회 국외학자가 이야기 하는 한글, 한글 자료, 국립한글박물관, 2014.

홍현보, 우리 사전의 왜곡된 언문뜻풀이에 관한 연구, 한글298, 한글학회, 2012.

 

<영상자료>

 

진태하, 진태하 박사의 문자학 강의1-1, 전국漢字교육추진총연합회>한자 자료>문자학 강의, 2014. http://www.hanja-edu.com/home/m_view.php?ps_db=psd5&ps_page=3&ps_boid=1&ps_mode=

 

https://inkbook-1.tistory.com/12861524

 

자방고전 풀이

책 제목>자방고전(字倣古篆) 풀이 잉크북(inkbook), 2021.2.11 발간                        *'알라딘'에 있습니다.(배송비 생김, 다음책에서 빼고 발간해야겠다.) 부제>『세종실록』 1443년12월30일

inkbook-1.tistory.com

 

https://inkbook-1.tistory.com/12861982

 

세종의 언문 연구 - 자방고전 풀이 이음

세종의 언문 연구 - 자방고전 풀이 이음, 잉크북, 2024.1.11. *알라딘에 있습니다. 세종이 연구한 언문(세종의 언문 연구 과정) 580년 후 세종의 언문을 연구한 저자(세종의 언문을 연구) 두 의미를 함

inkbook-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