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자방고전 풀이

책만 보는 주부

서예/법첩임서

서보 19

雅嵐 2024. 9. 13. 10:31

원문

求其姸妙,  / 不亦謬哉

, 君子立身, 務脩(1)其本. 揚雄(2), 詩賦小道, 壯夫不爲. 況復溺思豪氂(3), 淪精翰墨者也.

夫潛神對奕(1), 猶標坐隱(2)之名,

 

해석

그리고 아름답고 묘함을 구한다면, 또한 그릇되지 않은가?

그러나 군자의 입신은 수신을 근본으로 삼는다. 양웅은 시와 부는 작은 도로 장부가 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하물며 생각은 정미한 필획에 빠지고, 정신은 서예에 잠긴 이는 어떠하겠는가?

온 정신을 기울여 바둑을 두는 것도 오히려 좌은의 미명을 표방할 수 있고, 

 

주석

(1) 묵적본사고본이현사에는 ’, 호남본에는 라 하였으나 여기에서는 전자를 따른다.

(2) 사고본호남본에는 ’, 묵적본이현사에는 이라 하였으나 여기에서는 전자를 따른다.

양웅(揚雄, 一作 楊雄, 기원전 53-기원전 18)은 자가 자운(子雲)이고, 서한시기 문학가철학가언어학자였으며, 촉군성도(蜀郡成都, 지금의 四川省 成都) 사람이다. 젊은 나이에 장양부」ㆍ「감천부를 지었고, 철학 저서로 법언』ㆍ『태현이 있으며, 언어문자학 저서로 방언』ㆍ『훈찬편등이 있다. 청나라 엄가균이 양자운집을 다시 편집하였다. 양웅은 젊어서 한 일을 후회하며 법언혹자가 그대는 젊어서 부를 좋아하였는가?’라고 묻자 그렇다. 어렸을 때 조충전을 새겼다.’라고 하였다. 갑자기 말하길 장부가 할 일은 아니다.’라고 하였다.”라고 기록하였다.

(3) 묵적본이현사에는 豪氂’, 사고본에는 豪釐’, 호남본에는 毫釐라 하였으나 여기에서는 전자를 따른다.

호리(豪氂)는 호리(毫釐)와 같으니, 수량을 세는 단위이다. 십사(十絲)가 일호(一毫, 0.0333333mm)이고, 십호(十毫)가 일리(一釐, 0.3333333mm)이다. 여기에서는 아주 정미한 점과 필획을 가리킨다.

 

(1) 對奕(대혁) : 묵적본사고본에이현사에는 ’, 호남본에는 이라 하였으나 여기에서는 전자를 따른다.

대혁(對奕)은 바둑을 대국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당나라 설용약은 집이기부계원에서 날이 밝기를 기다려 개화방에 이르러 말을 찾아 병부 한시랑과 함께 바둑을 대국하였다.”라고 하였다. 송나라 주밀은 운연과안록에서 옛날 그림 두 점이 있다. 하나는 <오정개산>이고, 다른 하나는 <제선대혁>이다.”라고 하였다.

(2) 坐隱(좌은) : 세상을 떠나 은거하며 바둑으로 자신의 흉중을 드러내었기 때문에 바둑의 별칭으로 사용하였다. 남조 송나라 유의경은 세설신어교예에서 왕탄지(王坦之, 330-375 從事中郎을 지냈음)는 바둑을 좌은으로 삼았고, 지둔(支遁, 314-366 세칭 支公)은 바둑을 수담으로 삼았다.라고 하였다. 송나라 황정견은 혁기에서 좌은은 암혈의 즐거움을 모르고, 수담은 속인과 함께 말하는 것보다 낫다.라고 하였다.

 

 

https://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40952

 

20 송종관 서예가 - 대전일보

경부 송종관 선생은 우리나라 서단에서 탄탄한 실력과 이론을 겸비한 대표적 서예가로 손꼽힌다. 오체가 융합된 초서는 혼합 속에서 통일성을 추구하는 질서로 승화돼 선생의 정신과 감정을 한

www.daej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