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자방고전 풀이

책만 보는 주부

서예/서예 걸음마

교재의 첫걸음 전서 석고문

雅嵐 2007. 9. 8. 17:40

석고문, 이현사
오창석 임 석고문, 시청각교육사
오창석 서령인사기, 운림필방
오창석 수진택허당기, 운림필방
산씨반, 이현사 금문
모공정, 이현사 금문
등완백 백씨초당기, 운림필방
서삼경 출사표, 운림필방
천발신참비
사삼공산비

 
     1) 전서 석고문을 첫 번째 교재로 선택하는 이유는 획의 구성이 왼쪽에서 오른쪽 뿐 만 아니라 오른쪽에서 왼쪽이나, 아래에서 위로 거슬러 올라가는 획들이 많아서 붓면을 골고루 사용하는 운필을 하기에 적합하다.

    2) 또한 붓의 일분필만 사용하므로 성글거나 복잡한 글자의 구성을 고루 임서해 가면서 획의 뼈대를 튼튼히 하는 연습을 하기에 충분하다.

    3) 획과 획이 어우러지는 조형성이 뛰어나 글자를 구성하는 짜임새를 공부하기에 좋다.

    4) 기필(획의 시작)과 수필(획의 마무리)의 맺음이 매우 단정하여서, 모든 서체의 기본으로 익히기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5) 글자를 보면 해서나 행서에 비해 현대에 잘 쓰이지 않는 글자가 많아 낯설기도 하고 글자를 익히기에 어려움도 많지만, 시대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석고문을 한번 일별(얼핏 보아 익힘)하게 되면 서예에 입문한 사람으로서, 선인들의 묵적, 서적, 간판, 전시장을 감상하는데 금문에서 대전, 소전에 이르기까지 인지의 폭이 매우 넓어진다.

    6) 행서까지 한바퀴 4체를 섭렵하였다면 다음 전서의 두 번째 과정으로는 오창석의 서령인사기를 꼼꼼하게 쓰고, 이후 초서까지 두바퀴를 돌았다면, 사삼공산비, 천발신참비, 서삼경의 출사표, 이양빙의 삼분기를 모두 임서해보자. 한 사삼공산비는 전서와 예서의 특징이 함께 들어 있으면서, 글자의 폭은 일정하지만, 길이가 글자마다 다양하여 이 두 가지 면에서는 창작에 활용하면 좋다. 가끔은 무리해서 꼬리를 빼는 경우가 있고 자형이나 흐름이 통일감이 없는 면이 있다. 천발신참비는 편봉을 과감히 활용한 독특한 특징 때문에 거부감이 많았던 글씨이다. 그렇지만 천발신참비를 임서하고 서삼경의 출사표나 오창석의 서령인사기를 다시 써본다면 그 글씨에 천발신참비 임서가 기초가 되어야 함을 깨달을 것이다. 이양빙의 삼분기석고문 이후 다시 글씨의 뼈대를 튼튼히 해보는 연습에 도움이 된다.

    7) 그 외 오창석의 임석고문, 수진택허당기, 등완백의 백씨초당기 등과 금문의 산씨반명기, 모공정 등으로 확대하면 좋은데, 특히 산씨반명기는 문자디자인면에서 활용한다면 매우 훌륭한 자형이 나올 것 같다.

'서예 > 서예 걸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영비까지 쓰면 가능한 한글판본체  (0) 2007.12.16
두번째 교재로 삼는 을영비  (0) 2007.09.26
서예교재 고르기  (0) 2007.09.07
화선지와 붓글씨 쓰기  (0) 2007.07.26
벼루와 먹물만들기  (0) 2007.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