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자방고전 풀이

책만 보는 주부

서예/법첩임서 117

삼분기(2016.10)

식지이재예 박지이문행 : 재주와 기예를 기반으로 심고 학문과 덕을 행하여 널리 밝힌다. 입신이시지례 : 신의를 세우는 것으로써 나타나는 것이 예이다. 본인이시지의 : 어짊의 근본이 되는 것으로써 나타나는 것이 의이다. 야간산종 : 한밤중 산사의 종. 즉 자기자신을 깨우치는 산뜻하고 깊은 울림. 관율유립 : 너그러운듯 엄격하며 부드러운듯 하나 곧다. 효우증민주야 : 효도와 우애는 공자의 제자 증자와 민자를 짝하라. 본받아라. 문학계업 선벽산야 : 글과 학문으로 업을 이어가는 것은 보물을 생산하는 것이다. 순고함장 기재재야 : 진실하고 견고하게 덕을 간직하는 것은 훌륭한 사람의 재목이다. 호궁생덕 의수봉복 : 하늘이 덕을 내니 마땅히 복을 받는다.

서예/법첩임서 2016.10.09

전유암산가서(2008.12)

김생. 지금으로 풀이하면 김아무개라 할 수 있다. 그의 글씨가 종종 높이 평가되나 그의 글씨를 써 본 서예가라면, 또 오래 여러 법첩을 써 보았다면, 그의 글씨는 임모에 불과하거나, 그는 새기는 달인이었을 가능성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왕희지의 법첩과 미세한 획의 특징 결구가 일치하며 집자를 하였으므로 연결성이 부족하다. 아마도 없는 글자는 연결성을 더해 써넣은 듯, 흐름이 어색하고 글자의 자형도 분위가가 이어지지 않을 정도로 특이한 것을 찾아 썼다. 안타까운 것은 사찰의 많은 비문이 작자는 다르지만 왕희지의 집자성교서 형태를 벗어나 자유롭게 쓴 것은 매우 드물다는 것이다.

서예/법첩임서 2011.10.08

왕탁증탕약망시,장입작성,서화수견,고적..(2007.5~ 2008.9)

탕약망(湯若望, 1591~1666)은 독일 쾰른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로 명말 청초에 서양의 역법을 중국에 도입하는 과정에서 큰 역할을 했다. 명 말 숭정 연간에 서광계 등이 서양 역법서들을 한역하여 『숭정력서』를 편찬하는 데 참여했으며, 청나라가 들어선 후 이것을 재정리해서 『서양신법력서』를 편찬했다. 이 책을 바탕으로 해서 이전의 대통력이 시헌력으로 개력되었다. 1645년 무렵부터 흠천감의 책임자가 되어 신법인 시헌력의 시행을 이끌었다. 원명은 ‘Johann Adam Schall von Bell’이다. 탕약망사건-소위순치제독살사건 http://blog.daum.net/shanghaicrab/3416190

서예/법첩임서 2011.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