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서법첩으로 비나 첩의 탁본만큼 중요한 것이 필사본이다. 특히 행초서의 경우 기필과 수필의 미세함을 느끼고 따라 해보기 위해서는 비첩보다 필사본의 가치가 더 크다. 번각으로 인해 무디어진 필획은 기운이 응체되어 그 기세를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다. 왕희지의 집자성교서로 정밀함을 익혔다면 다음 단계로는 반드시 왕탁의 연면행서를 임서해보아야 한다. 단지 염려되는 것은 예술로서의 서예보다 정신세계를 더 중시하는 서도로서 도덕적 비판을 받는 왕탁이나 조맹부의 글씨를 임서하여야 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는 내 자신도 전문적인 과정을 들어가기 전에 크게 고민한 바가 있던 부분이라서 다음의 스크랩을 통하여 대신하고자 한다. 이 글을 전개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사용하기위해 앞머리와 뒷부분을 줄이고 한자를 한글로 바꾸었다. 꼭 읽어야할 부분의 밑줄을 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사진을 첨부하였다. 앞에 언급한 외에는 원본을 그대로 옮겼음을 작자에게 먼저 양해를 구한다. 가져온 곳 주소는 http://blog.daum.net/solpee/15385665이다.
왕탁 작품 사진은 아래책 도판 일부를 인용함.
왕탁서법전집 1~5, 하남미술출판사, 2005. 10월
-------------------------------------------------------------------------
王鐸(1592-1652)은 河南 孟津 사람으로 字는 覺斯와 覺之를 사용하였고 石樵, 嵩樵, 痴樵, 十樵, 雪山, 五岳道人, 雪山道人, 東皐長 張芝山房, 靈芝軒, 聽雪齋, 琅華館 등 수많은 아호와 당호를 사용하였다. 시문과 산수화에도 뛰어났으나 서예의 명성이 높아 나머지는 그 속에 묻히고 말았다. 그는 明나라 萬曆 20년(1592)에 태어나 淸나라 順治 9년(1652) 6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인생의 대부분을 명나라에서 살았으나 청나라가 건국한 이후에도 계속하여 禮部尙書의 관직을 받는 등 청나라를 섬겼다. 이와 같은 까닭으로 서학자에 따라서 그를 명나라 시대의 서예가로 분류하기도 하고 청나라 시대의 서예가로 분류하기도 한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왕탁은 명말청초의 서예가이지만 필자는 그가 61세의 한 평생 가운데 55년을 南明을 포함한 명나라에서 생활하였고 또 그의 독창적 서풍도 명나라 시대에 이미 완성되었기 때문에 부득이 명나라 시대의 서예가로 분류하였다.
왕탁은 비교적 부유한 집안에서 출생하여 어려서부터 書塾에 다니면서 학문과 서예를 연마하였다. 20대 초반에 東林黨의 핵심 인물이며 후에 刑部尙書에까지 오른 喬允升(교윤승)이 요양하기 위하여 고향인 孟津에 내려와 있을 때 그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면서 동림당과의 깊은 관계를 유지하였다. 天啓 원년(1621) 鄕試를 거쳐서 天啓 2년 31세의 나이로 進士에 급제하면서 벼슬길에 나갔다. 당시 서예로 명성을 얻고 있던 黃道周와 倪元璐(예원로)도 함께 진사에 급제하여 이들 세 사람은 사람들에게 ‘三珠樹’라 불리기도 하였다. 그 후 한림원에 들어가 庶吉士, 編修, 經筵講官 등을 거치며 빠르게 승진하였다. 崇禎 17년(1644)에 이르러서는 예부상서에 봉하여 졌으나 청나라 군대의 침입에 의해 도성이 함락되는 까닭에 부임하지는 못하였다. 崇禎帝가 자살한 후 福王, 魯王, 唐王, 桂王이 金陵(지금의 南京)에서 南明을 세우고 즉위하자 왕탁은 福王을 따라 東閣大學士에 올랐으며 청나라 군대에 대항하며 復明을 도모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順治 2년(1645) 錢謙益과 함께 百官을 이끌고 성문을 나와 청나라에 투항하였다. 順治 3년 청나라에서 弘文院學士를 除授 받았으며 禮部左侍郞과 太子少保를 거쳐 예부상서에 봉해졌으나 와병 중이라 부임하지는 못하였다. 順治 9년 세상을 떠난 후에 太子太保에 除授 되었고 文安의 시호가 내려졌다.
명나라 후기의 서예가 가운데 왕탁과 함께 과거에 급제한 예원로와 황도주는 청나라에 반항하며 결국 순국하였으며 후배인 傅山은 평생 白衣로 지내면서 淸朝에 봉사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은 절개있는 충신으로 추앙 받은 반면 王鐸은 두 王朝를 섬긴 까닭에 비난을 면치 못하였다. 따라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그의 서예도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정치적 관점과 도덕적 표준의 차이로 시대적 비판을 받은 사람의 예술품에 대한 가치의 평가는 항상 역사적 명제였다. 이와 같은 명제의 대표적 서예가는 趙孟頫와 王鐸으로 그들의 서예는 항상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그들의 인품을 논하는 뒷면에는 항상 漢族을 중심으로 하는 민족주의적 사고가 도사리고 있었다. 두 왕조를 섬긴 사대부는 조맹부와 왕탁만이 아니라 漢魏의 鍾繇, 隋唐의 歐陽詢과 虞世南 등을 포함하여 많은 서예가들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비록 두 왕조를 섬겼으나 둘 다 한족 통치의 왕조이기 때문에 비난을 받지 않았고 조맹부와 왕탁은 정복 왕조를 섬겨서 많은 비난을 받았다. 따라서 우리는 漢族 중심의 정치적 혹은 도덕적 표준에 얽매일 필요가 없으며 객관적 태도로 그들의 서예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王鐸은 王羲之와 王獻之의 서예를 모범으로 학습하여 자신의 독자적 서풍을 창립한 서예가이다. 그는 淸나라 順治 6년(1649) 58세에 쓴 [淳化閣帖]과 산수화 合卷의 跋文에서 “予書獨宗羲獻. 卽唐宋諸家皆發源羲獻, 人自不察耳.”(나의 서예는 오직 王羲之와 王獻之를 근본으로 하였다. 이것은 唐宋의 여러 서예가가 모두 二王에서 발원하였는데 사람들은 그것을 알지 못한다.)라 하여 당송의 서예가가 모두 왕희지와 왕헌지를 근본으로 한 것과 같이 자신도 二王의 서예를 근본으로 하였다고 기록하였다. 그는 또《擬山園選集》에서 “[聖敎]之斷者, 余年十五, 鑽精習之.”([聖敎序]의 臨書를 결단한 것은 내 나이 15세 때로서 매우 깊이 연습하였다.)라 기록하여 어린 시절부터 王羲之의 서예에 전심전력하여 15세에 이르러 [集字聖敎序]를 깊이 있게 공부하였다고 기록하였다. 현재 전하고 있는 [爲景圭先生臨聖敎書]와 [臨蘭亭序並律詩帖]은 天啓 5년(1625) 王鐸이 34세에 臨書한 작품으로 그가 王羲之의 서예에 얼마나 정통하였는지 보여주는 걸작 중의 걸작이다. 唐나라 시대의 摹本을 제외하고는 王羲之 서예의 형태와 내면의 정신을 이만큼 잘 표현한 작품을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그가 스스로 ‘鑽精’이라 자신한 것이 결코 과장이 아니었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王羲之 서예의 정수를 체득한 왕탁은 역대 유명한 서예가들의 작품을 감상하고 또 임서하여 새로운 서예 세계로의 진출을 도모하였다. 급제한 후 翰林院에 들어간 왕탁은 [순화각첩]을 비롯하여 내부에 수장되어 있는 唐宋과 元明의 뛰어난 작품을 감상할 기회가 많았다. 현재까지 전하고 있는 수많은 書畵 명품의 題跋로 그가 명가의 작품을 많이 감상하였고 또 공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吳門, 華亭, 金陵 등 문화와 예술의 전통이 깊은 지역을 비롯하여 전국을 여행하며 안목을 넓혀 나갔다. 그는 《跋五弦少司空褚臨蘭亭墨跡》에서 “觀書猶觀山升嶽, 嫌衆山之峛崺(리이)也.”(서예를 감상하는 것은 五嶽에 올라 산을 보면 자잘한 산들을 싫어하는 것과 같다.)라 하였고 또 《書峨眉山紀覽詩跋》에서는 “登五嶽然後知山, 浮海澳然後知海.”(五嶽에 오른 다음에 산을 알고 깊은 바다에 나가 본 다음에 바다를 알 수 있다.)라 하여 서예의 학습에 있어서 뛰어난 명가의 작품을 많이 섭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擬山園集》에서 “予跡江南北, 幾遍天下.”(나는 강남과 강북의 천하를 두루 遍踏하였다.)라 하여 스스로 전국 각지를 유람하며 안목을 넓혔음을 자부하였다. 崇禎 10년(1637) 46세에 [순화각첩]에 실려 있는 30여 명의 작품을 임서한 [瓊蕊廬帖]을 근거로 할 때 왕탁은 왕희지 이외에도 魏晋시대 여러 서예가의 서예를 매우 깊이 있게 연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순화각첩]을 중심으로 한 왕희지와 위진 시대의 여러 서예가의 精髓를 체득한 왕탁은 당송 시대의 懷素, 李邕, 顔眞卿, 米芾 등의 서예로 눈을 돌렸다. 그 가운데서도 米芾의 서예를 특별히 좋아하여 칭찬하고 또 깊이 있게 연구하였다. 그는 미불의 서예에서 자신이 미처 찾아내지 못한 왕희지 서예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였다. 《跋米芾吳江舟中詩卷》에서 “米芾書本羲獻, 縱橫飄忽, 飛仙哉. 深得[蘭亭]法, 不規規摹擬, 予爲焚香寢臥其下.”(미불의 서예는 왕희지와 왕헌지를 근본으로 하며 변화가 풍부하여 신선이 날아오르는 것 같다. [난정서]의 법칙을 깊이 터득하였으며 형태를 있는 그대로 베낀 것이 아니다. 나는 焚香하고 그 아래에서 잠자며 오랜 시간 동안 연구하였다.)라 하여 미불의 서예는 왕희지의 형태를 베낀 것이 아니라 그 정신을 표현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또 《跋米芾告夢帖》에서 “字灑落自得, 解脫二王, 莊周夢中, 不知孰是眞蝶, 玩之令人醉心如此.”(서예의 뛰어남을 스스로 체득하였으며 二王의 형태에서 解脫하였다. 莊子가 꿈속에서 누가 진짜 나비인지 모른 것처럼 그것에 익숙하면 사람들로 하여금 장자의 꿈과 같이 취하게 한다.)라 하여 미불은 二王의 서예를 완전히 소화하여 자신의 서풍을 확립한 서예가로 자신을 그 속에 빠져들게 하였다고 하였다. 서예의 학습에서 형태가 아닌 내면의 정신을 배우는 것은 왕탁이 미불의 서예를 통하여 깨달은 중요한 명제로서 그의 서예를 二王의 거죽은 벗어 던지고 정신만을 취하여 자신의 새로운 서풍을 형성할 수 있는 관건이 되었다. [琅華館帖] 가운데 [群玉堂帖]을 임서한 작품과 [贈今礎先生扇面八幀] 등을 통하여 왕탁이 미불의 서예에서 내면의 정수를 깊이 체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왕탁은 행서와 초서로 明末淸初에 가장 뛰어난 업적을 이룩한 서예가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청나라 시대까지만 하여도 그는 楷書의 수준이 매우 높았다고 평가받기도 하였다. 청나라 시대의 楊賓은 《鐵函齋書跋》에서 “明末書家, 舊稱南董北王. 董長於行, 王長於楷. 楷書之小者, 凡欲追踪[麻姑仙壇記].”(명말의 서예가로 예전부터 南董北王이 유명하였다. 董其昌은 行書에 뛰어나고 王鐸은 楷書에 뛰어났다. 小楷는 顔眞卿의 [麻姑仙壇記]를 추종하려 하였다.)라 하였고 《淸人書評》에서는 “其書, 小楷最上, 善得晋唐之神.”(그의 서예는 小楷가 가장 뛰어났다. 晋唐의 정신을 매우 잘 체득하였다.)이라 하여 왕탁은 晋唐의 해서에서 정수를 체득하여 소해에 가장 뛰어났다고 평가하였다. 종요와 왕희지의 해서를 기초로 하였으며 안진경의 기상을 더하여 자신의 서풍을 개척하였고 행서와 초서의 기초로 삼았다. 현재까지 전하는 해서 작품으로는 [王維五言詩卷], [臨褚遂良帖卷], [延壽寺碑] 등과 [爭座位帖跋], [淳化閣帖跋], [聖敎序跋] 등의 跋文이 있다.
현재까지 전하는 작품을 근거로 할 때 45세 이전의 작품은 진당의 서예를 임서한 것이 많고 그 밖의 작품도 왕희지와 미불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은 것이 대부분이다. 崇禎 11년(1638) 47세부터 명나라가 멸망하는 숭정 17년(1644) 53세까지 관직을 떠나 고향에서 서예의 창작에 매달려 있을 때 왕탁의 서예는 행서와 초서를 중심으로 하여 완전하게 독자적 서풍을 형성하게 되었다. 王鐸과 함께 科擧 시험에 급제하여 한림원에서 서예와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晩明四大家의 한사람으로 불리는 黃道周는 《黃漳浦集.書品論》에서 “行草近推王覺斯. 覺斯方盛年, 看其五十自化.”(행초로는 근래에 왕탁이 뛰어나다. 왕탁은 바야흐로 한창 무르익어 50세에 모든 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라 하여 왕탁은 50세에 이르러 자신의 서예 세계를 확립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왕탁 스스로도 《再跋自書瓊蕊廬帖》에서 “此予四十六歲筆. 五十以後, 更加淬礪, 仍安於斯乎?”(이 작품은 내가 46세에 쓴 것이다. 50세 이후 더욱 노력하였는데 여전히 이 같은 수준에 안주하겠는가?)라 하여 50세에 이르러 몇 년 전에 쓴 작품에 대해 불만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50세를 전후하여 王鐸은 자신의 완전한 서예 세계를 개척하여 자신만의 書風으로 왕성한 창작 활동을 하였다. 이 시기의 작품으로는 [爲心翁書詩軸], [憶過中條語帖], [北京玄眞廟詩軸], [爲仲玉書詩軸], [萬騎爭歌詩軸], [靑圃通隣詩軸], [洛州香山詩軸], [吾聞朱君文語軸], [香山寺詩軸], [琅華館帖], [贈子房公草書軸], [奉景翁詩軸], [望白雁潭作詩軸], [飛人詩軸], [爲嗇道兄書詩軸], [贈湯若望詩冊], [爲谷水老詞宗書詩軸], [贈張抱一行書詩卷] 등 여러 작품이 전하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이 行書와 草書로 이루어져 있다. 55세 이후 청나라 시대에도 많은 작품을 창작하였으나 서풍의 새로운 변화는 일어나지 않고 이전의 형태와 심미적 범주를 계승하고 있을 뿐이었다.
왕탁 행초의 필획은 강건하면서도 변화가 다양하며 위태롭고 험준할 뿐 아니라 불규칙한 結字와 結構 가운데서도 전체적 조화를 이끌어 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편방의 좌우 결자에서는 높고 낮음은 물론 크기의 구속을 받지 않았고 필요에 따라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한자 본래의 結構法에서 벗어나지 않아 기이한 형태 속에서도 전체적 조화가 탁월하다. 특히 布置와 章法에서 기운이 생동하는 운동성과 곡조를 타는 듯한 음률과 박자의 흐름을 매우 잘 표현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왕탁의 행초는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좋은 평가를 받아 ‘五百年來無此君’(오 백년 이래로 왕탁 만한 사람이 없다.)이라 하여 北宋 이후 가장 뛰어난 서예가로 칭송되었다. 吳昌碩이 《缶廬集.孟津王文安草書卷》에서 “有明書法推第一.”(명나라 서예의 제일이다.)이라 한 것처럼 碑學이 성행한 이후 그 명성은 더욱 높아졌으며 20세기 중기 이후부터는 中國은 물론 일본에서 王鐸 붐이 일어나 많은 서예가들이 숭배하고 있다.
가져온 곳 : 블로그 >범고래 글쓴이 : solpee| 원글보기
https://inkbook-1.tistory.com/12861982
https://inkbook-1.tistory.com/12861524
https://solpee.tistory.com/15385665
'서예 > 서예 걸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왼 좌 오른 우' 쓰는 순서는 왜 다른가요? - '있을 유' 필순 (0) | 2023.04.09 |
---|---|
행서를 쓰기 전에....(행서 병폐) (0) | 2010.04.02 |
초보 서예작품 창작하기(착한 글씨들이 상받는 그날까지...) (0) | 2009.11.21 |
한자 공부도 함께 하는 해서 여초 천자문 (0) | 2008.11.04 |
기초과정으로 삼는 해서 우궐조상기 (0) | 200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