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상반기 논문 제출
참고문헌
『훈민정음』, 한글학회편, 해성사(고서보존회), 1998.
『훈민정음 옮김과 해설』, 한글학회, 1998.
『원문중세국어』, 어문교육연구회 편, 대제각, 1982.
『說文古籒補 : (幷)附錄』, 吳大澂 撰, 刊寫者未詳, 1884.
『古籒拾遺, 幷附宋政和禮器考扁』, 孫詒讓 編, 刊寫者未詳, 1918.
『古籒篇篆文索引』, 說文樓藏版, 다카다 타다치카(高田忠周) 著, 刊寫者未詳, 1925.
『古籒篇』, 다카다 타다치카(高田忠周) 纂述, 刊寫者未詳, 1925.
『石鼓文』 宣王 刻石, 刊寫者未詳, 발행연도: [至元己卯(1279) 跋]
篆書『石鼓文』 서예기법시리즈 14, 視聽覺敎育社書藝敎育部 編著, 視聽覺敎育社, 1985.
『대한한사전』, 장삼식 편, 박문출판사, 1975.
『동아 새 漢韓辭典』, 두산동아 사전편찬실 엮음, 동아출판사, 1977.
허신 찬, 송 서현 교정, 『설문해자』, 중화서국출판, 2007.
허신, 한한대역 단옥재주 『설문해자』 1`2, 일월산방, 2016.
은`주`열국『갑골문 금문』, 이현사, 1999.
『국한최신홍자옥편』, 홍자출판사 편, 문천사, 1979.
『서안비림』, 연세대학교 박물관, 1998.
『石鼓文』, 소엽산방 저, 1917.
明拓 『石鼓文』, 미상, 미상, 1919.
宋拓 『石鼓文』, 서동서방, 미상, 1934.
篆書『石鼓文』 전대명법서 15, 시청각교육사서예교육부 편저, 시청각교육사, 1993.
唐拓 周 『石鼓文』 전대고법첩11, 대신필방, 1990.
『악장가사』, 발행자 미상, 발행년도 미상.
『영조대왕 글·글씨』 어필 204점에 대한 도판과 해석, 궁중유물전시관 편, 2001.
『오륜행실도』 곤, 옥봉정사, 1997.
『용비어천가』, 한국고전총서간행위원회, 대제각, 1973.
『韻府古篆彙選』1–2, 陳嘉謀 編, 刊寫者未詳, 1713.
『전서』 서예기법강좌, 청송서예학원 편, 삼우출판사 1991.
『전서 전각』, 한국서화연구회 편, 한림출판사, 1985.
『전서 태산각석 낭야대각석 전각』, 하서출판사, 1983.
『篆韻』,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
『篆韻便覽』(幷)篆字玉篇, 景惟謙 編, 刊寫者未詳, 1651.
『제8회한일문화서예교류서울전』, 국립현대미술관 `한일문화교류협회, 덕수궁국립현대미술관, 1978.
『조선시대 한글서예』 ,예술의전당 편, 미진사, 1994.
『조선왕실의 인장』, 국립고궁박물관 편, 그라픽네트, 2006.
『조선왕조 어필』 한국의 옛글씨 1, 문화재청, 예맥, 2009.
『조선왕조 어필』 한국서예사특별전 22,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2002.
『중국서예전집』 1, 중국미술전집편집위원회, 미술문화원, 1994.
『청 임석고문』 오창석, 서품총간 1, 운림당 편, 1975.
『한글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사람들의 삶』, 문화체육관광부 편, 2014.
강신항, 『훈민정음(한글) 창제와 연구사』, 경진, 2010.
강신항. 『훈민정음연구』. 증보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0.
강헌규 신용호, 『韓國人의 字. 號 硏究 』, 계명문화사, 1990.
권창륜, 고등학교 『서예』, 우일출판사, 1995.
김경수, 『100자에 담긴 한자문화이야기』, 전통문화연구회, 2011.
김경일, 『갑골문이야기』, 바다, 1999.
김규진, 독학 『서법진결』 육체필론, 1868.
김규진, 『서법진결』, 京城 古今書晝陳列觀, 1915.
김문식, 『왕세자의 입학식』, 문학동네, 2010.
김문식 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김병순, 『동양삼국서법예술사』, 운림필방노포, 1997.
김성재, 『갑골에 새겨진 신화와 역사』, 동녘, 2004.
김응현 편, 『국문서예기법』, 성균서관, 1976.
김응현 편, 『석고문 태산각석 낭사(야)대각석』, 동방서범 2, 이화문화출판사, 1993.
김종헌 윤은섭, 정현숙 감수, 『서예가 보인다』, 미진사, 2016.
김충현 편, 『국한서예』, 시청각교육사, 1972.
명호인, 『한국저작권법』, 육법사, 2012.
박병천, 조선 초기『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동국정운·월인천강지곡, 일지사, 2000.
반재원 허정윤,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역락, 2007.
사재동, 『훈민정음의 창제와 실용』, 역락, 2014.
손환일, 『한국 금석문의 두전』, 서화미디어, 2011.
유창균, 『상형이자방고전에 대하여』, 국어학논문선, 민중서관, 1977.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 민속원, 2008.
이경규 편, 『고문허사 사전』, 제이앤씨, 2011.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2001.
이재흥, 『동국정운』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와 의의, 어문학사, 2011.
이한우, 『왜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만들었을까?』, 자음과 모음, 2011.
임민혁, 『왕의이름 묘호』, 문학동네, 2010.
任昌淳`후시미쥬케이(伏見沖敬), 趙慶哲 編譯, 『中國과 韓國의 書藝史』, 이화문화출판사,2001.
전윤성, 『석고문』, 고륜, 2004.
정 민, 『미쳐야 미친다』 조선 지식인의 내면읽기, 푸른역사, 2004.
정성환, 『서예전과』, 미술문화원, 1984.
조규태,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2000.
주강현, 『우리문화의 수수께끼1』, 한겨레신문사, 2002.
ㅡㅡㅡ, 『왼손과 오른손』, 시공사, 2002.
최경봉 시정곤 박영준,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책과함께, 2011.
최동민, 『보험별곡』 제 1회 전태일 문학상우수작수상작품, 세계, 1989.
최영선,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 2009.
허웅,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64.
홍순래 편저, 『한자와 파자』, 어문학사, 2011.
顧湘 編, 『篆學瑣著』,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
顧實, 『중국문자학』, 동남대학총서, 대만 상무인서관, 1925.
다카다 타다치카(高田忠周) 纂述, 『古籒篇補遺』, 刊寫者未詳, 1925.
ㅡㅡㅡ, 『學古發凡』, 미상, 1925.
陶郁 撰, 『篆法撮要』 1卷, 苔園家原昌保寫, 1872.
陶郁 撰, 『篆法運筆』, 東京 : 三圭社出版部, 1926.
杜忠誥, 정철재 역, 『서예기법』, 미술문화원, 1988.
미즈노리쓰겐(水野栗原), 설이병 역,『전서』초보에서 창작까지, 다운샘, 2011.
사혁 등 찬, 사고예술총서 『고화품록』 외 21종, 상해고적출판사, 1991,
圓道祐之 편, 『초서대자전』, 대창서관, 1935.
유도 당음방, 『중국서예술오천년사』, 다운샘, 2000.
유희, 하영삼 옮김, 『석명』 언어에 대한 글자 풀이,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李陽泳 書, 『篆文大觀』, 求古齋, 1885.
장이, 정현숙 옮김, 『서예미학과 기법』, 교우사, 2009.
저우스펀, 서은숙 옮김, 『양주팔괴』 중국화인열전, 창해, 2006.
조선탁, 송강호 옮김, 『중국어 한자의 어원』, 지식과교양, 2011.
중화전시대교학부 편, 師傳 『문자학』, 대북 중화출판사, 1974.
池永榮春 편, 『聯珠篆文』, 刊寫者未詳, 1910.
진위담 당옥명, 강윤옥 옮김,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 현학사, 2005.
천징, 김대환 신창호 옮김, 위대한 폭군『진시황평전』, 미다스북스, 2002.
로타 레더로제, 정현숙 옮김, 『미불과 중국 서예의 고전』, 미술문화, 2013
강윤옥, 「『說文』籒文과 兩周 金文의 비교를 통한 “籒文時地”고찰」, 중국인문학회 『중국인문과학』 51권, 2012.
공재석, 「한글 고전기원설에 대한 한 고찰」, 『중국학보』 7집, 한국중국학회, 1967.
공재석, 「한대 동몽식자서 『급취편』연구」, 『한국학연구』 16집, 고려대학교한국학연구소, 2002.
김병기, 「서예 서법 서도, 어떤 명칭을 사용할 것인가」 서예학술 주요 용어의 한국적 개념 정립과 그 통 일방안의 모색, 성균관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2004.
김양동, 「한국 인장 전각의 역사」 『조선왕실의 인장』, 국립고궁박물관, 2006.
김유연, 「설문해자 ‘주문’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 석사, 2001.
김유연, 「설문해자 ‘중문’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 박사, 2009.
김홍철, 「국문의 자체 및 서체발달에 미친 한자의 영향」 『중국문화』 vol.2 No.2, 청주대 중국문화연구 소, 1980.
목수현, 「전통과 근대의 경계인 해강 김규진의 삶과 예술세계」 고궁박물관 ‘창덕궁 희정당 벽화’강연, 2018.
박병천, 「한글 서체의 분류방법과 용어개념 정의에 대한 논의」 앞의 책, 성균관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2004.
양원석, 「조선시대의 정초 『육서략』 수용과 활용」, 『동방한문학』 66집, 동방한문학회, 2016.
오제중, 「『설문해자』주문과 『사주편』 연구」, 한국중국언어학회『중국언어연구』 제 30호, 2009.
ㅡㅡㅡ, 「籒文과 石鼓文의 관계 考察」, 중국어문학연구회 『중국어문학논집』 제 66호, 2011.
유홍준, 「헌종의문예취미와서화컬렉션」 『조선왕실의인장』, 국립고궁박물관, 2006.
이동국, 「15`16세기 조선서예의 흐름과 특질에 대한 일고찰」, 한국국학진흥원, 2002.
이상기, 「‘석고문’의 각석연대 및 자형상의 특징 고」, 『중국연구』제 23권,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1999
이응백,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대학국어특강』상, 한국대학편입고시연구회, 종각출판사,1983.
정병례, 「기량이 넘치는 오창석임 석고문」, 월간『서법예술』, 1996년 8월 통권 4호.
정화경, 「정초의 『육서략』 연구」, 청주대학교 중어중문학 석사, 2006.
진태하, 「한자서체는 어떻게 변했나」 갑골문에서 간체자까지(2), 월간『한글+한자문화』2018.3월 제224호.
홍윤표, 「한글 자형의 표준화에 대하여」, 『국어생활』 ‘89가을(제 18호), 1989.
홍윤표, 「훈민정음의 ‘상형이자방고전’에 대하여」 『국어학』 46, 국어학회 2005.
홍윤표, 「한글 서예 서체의 명칭」 앞의 책, 성균관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2004.
월간 『서법예술』, 동방연서회, 통권 1호~ 28호(1996. 5월~ 1998. 8월)
KBS 다시보기 영상, 「뿌리 깊은 나무, 한글창제의 미스터리」, KBS 1TV 역사저널 그날 제 46회, 2014. 10.11. http://www.kbs.co.kr/1tv/sisa/theday/view/vod/2292008_105592.html?dataType=202
한국고전번역원DB, 검색어 : ‘篆’ ‘篆文’ ‘蒙’ ‘방고전’ ‘十韻’ ‘技藝’ ‘서법’ ‘서도’ ‘서예’ ‘飜切’ ‘古籒’ ‘篆籒’ ‘籒篆’ ‘石鼓’ ‘석고가’ ‘諱’ ‘辟廱’ 등 검색. 2016. 10 ~ 2018. 7월
daum 한자사전, naver 한자사전 중국어사전 국어사전, 검색어 : ‘籒’ ‘周’ ‘篆’ ‘傳’ ‘隷’ ‘諺’ ‘言’ ‘而’ ‘倣’ ‘反’ 등 검색. 2016. 10 ~ 2018. 7월
daum, 검색어 : ‘일월오봉도’ 이미지, ‘「금동관우좌상」과 「일월오봉도」’ http://v.media.daum.net/v/20140514141010214, 검색일 : 2018. 5. 20.
daum, 검색어 : ‘진품명품 장헌세자(사도세자) 어필’, http://news.donga.com/3/all/20170825/85977718/1, 검색일 : 2018. 5. 2.
daum 검색, 검색어 : ‘留記’, 검색결과 : 장서각 / 디지털이카이브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yoksa.aks.ac.kr / 한국사 기초사전 /유기, 검색일 : 2018. 6. 3.
2021년도 상반기 '자방고전 풀이' 책 출판
참고문헌
<기본 자료 및 참고 도판>
『훈민정음』, 한국고전총서(복원판), 대제각, 1973.
『원문 중세국어』, 어문교육연구회 편, 대제각, 1982
『조선어사전』, 국립중앙도서관 DB, 조선총독부, 1920.
『동아 새 漢韓辭典』, 두산동아 사전편찬실 엮음, 1977.
『한어대사전』 DB, 羅竹風 주편, 상해사서출판사, 2000.
『篆韻便覽』(幷)篆字玉篇, 위 고문헌실, 景惟謙 編, 刊寫者未詳, 1651.
『篆法撮要』 1卷, 일본 국회도서관, 陶郁 撰, 苔園家原昌保寫, 1872.
『古籒篇』 『學古發凡』, 高田忠周 纂述, 刊寫者未詳, 1925.
『篆法運筆』, 일본 국회도서관, 陶郁 撰, 東京 : 三圭社出版部, 1926.
낙소봉, 『洪武正韻』, 아세아문화사, 1973(1770).
『論語古訓』 卷 1, 국립중앙도서관 DB, 太宰純 撰, 1792.
『論語繹解』 卷 1, 위 DB, 皆川愿 , 1812.
『論語集說』, 위 DB, 安井衡 편, 동경 稻田佐兵衛, 1872.
신완역 『四書五經』 전 13권, 張基槿 李家源 權德周 全寅初 외 역, 평범사, 1986.
『六書略』, 鄭樵 著, 臺北 藝文印書館,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1976.
『六書本義』 『六書統』 『六書故』 『六書總要』 『說文長箋』 『說文解字注箋』 『一切經音義(一)』 등, 中華漢語工具書書庫, 이학근 주편, 안휘교육출판사, 2002.
은 주 열국 『갑골문 금문』, 이현사, 1999.
『설문해자집주』 상`중`하, 蔣人傑 編纂, 劉銳 审訂, 상해고적출판사, 1996.
『설문해자 주』, 단옥재, 예문인서관, 1999.
『石鼓文』 宣王 刻石, 刊寫者未詳, 위 고문헌실, 至元己卯(1279) 跋.
篆書 『石鼓文』, 서예기법시리즈 14, 시청각교육사 서예교육부 편저, 시청각교육사, 1985.
『국문 서예기법』, 김응현 편, 성균서관, 1976.
『전서 전각』, 한국서화연구회 편, 한림출판사, 1985.
『모암 윤양희』 작품집, 토 아트스페이스, 1992.
『후한 乙瑛碑』, 중국법서선 4, 이현사, 1994.
<단행본>
강신항, 『훈민정음(한글) 창제와 연구사』, 경진, 2011.
ㅡㅡㅡ, 수정증보 『훈민정음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顧實, 『중국문자학』, 동남대학총서, 대만 상무인서관, 1925.
권덕규, 『조선어문경위』, 국립중앙도서관 DB, 광문사, 1923.
ㅡㅡㅡ, 『조선유기』, 위 DB, 상문관, 1924.
김경일, 『갑골문이야기』, 바다, 1999.
김규진, 독학 『서법진결』 육체필론, 위 DB. 京城古今書晝陳列觀, 1868.
김문식 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김석환, 『한글의 자음 명칭과 밑뿌리에 대하여』, 한맥, 1995.
김종헌 윤은섭, 정현숙 감수, 『서예가 보인다』, 미진사, 2016.
김주원, 『훈민정음』 사진과 기록으로 읽는 한글의 역사, 민음사, 2013.
명호인, 『한국저작권법』, 육법사, 2012.
손환일, 『한국 금석문의 두전』, 서화미디어, 2011.
안자산, 「정음」, 조선어학연구회, 1938.
王國維, 하영삼 역, 『관당집림』,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유창균, 『상형이자방고전에 대하여』, 국어학논문선, 민중서관, 1977.
윤양희, 『쉬운 판본체』, 우일출판사, 2001.
이규갑, 『한자의 즐거움』, 차이나하우스, 2016.
이복규, 『설공찬전 연구』, 박이정, 2003.
이상규, 명곡 최석정의 『경세훈민정음』, 역락, 2018.
이상혁,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4.
이성구, 『훈민정음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DB, 동문사, 1985.
李忠九, 교수용 지도서 『주해천자문』, 한자한문교육총서 6, 전통문화연구회, 2012.
李學勤, 하영삼 옮김, 『고문자학 첫걸음』, 동문선, 1995.
이형상, 김언종 김남형 김봉남 양원석 안세현 옮김, 『역주 자학』, 푸른역사, 2008.
장회관, 『장회관 서론』, 호남미술출판사, 1997.
陳緯湛 唐鈺明, 강윤옥 옮김, 『중국 고문자학의 이해』, 현학사, 2005.
曹先擢, 송강호 역, 『중국어 한자의 어원』, 지식과교양, 2011.
蔡崇名, 『書法及其敎學之硏究』, 華正書局, 1977.
최영선,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 2009.
허 웅,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64.
胡奇光, 李宰碩 옮김, 『중국소학사』, 동문선, 1997.
홍기문, 『정음발달사』, 국립중앙도서관 DB, 서울신문사, 1946.
ㅡㅡㅡ, 이상규 천명희 왕민 짱쩐 주, 『증보정음발달사』, 역락, 2016.
黃德寬 陳秉新, 하영삼 옮김, 『한어문자학사』, 동문선, 2000.
<논문류>
강윤옥, 「『說文』 籒文과 兩周 金文의 비교를 통한 “籒文時地”고찰」, 『중국 인문과학』 51권, 중국 인문학회, 2012.
공재석, 「한글 고전기원설에 대한 한 고찰」, 『중국학보』 7집, 한국중국학회, 1967.
ㅡㅡㅡ, 「한대동몽식자서 『급취편』 연구」, 『한국학연구』 16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2.
권덕규, 「잘못 고증된 정음창조자」, 국립중앙도서관 DB, 『한글』 제1권 제4호, 한글학회, 1927.
ㅡㅡㅡ, 「정음이전의 조선 글」, 위 DB자료, 『한글』 제1권 제1호, 한글학회, 1927.
ㅡㅡㅡ, 「훈민정음의 연혁」, 위 DB자료, 월간잡지 『조선어』, 조선어연구회, 1927.
김윤경, 「한글기원 제설」, 위 DB자료, 『한글』 제5호, 한글학회, 1932.
김홍철, 「국문의 자체 및 서체발달에 미친 한자의 영향」, 『중국문화』 vol. 2 No. 2, 청주대 중국문화연구소, 1980.
문준혜, 「『설문해자』의 수용 양상」-청대 설문학의 성립과 발전을 중심으로, 중국문학 vol. 62 No.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송기중, 「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 문제와 한글의 기원」, 『진단학보』 제84호, 진단학회, 1997.
안명철, 「훈민정음 제자 원리와 육서」, 『우리말글』 제38집, 우리말글학회, 2006.
安自山, 「諺文의 起源과 其價値」, 『朝鮮』, 국립중앙도서관 DB, 朝鮮總督府, 1931.
양원석, 「조선시대의 정초 『육서략』 수용과 활용」, 『동방한문학』 66집, 동방한문학회, 2016.
오제중, 「『설문해자』 주문과 『사주편』 연구」, 『중국언어연구』 제30호, 한국 중국언어학회, 2009.
ㅡㅡㅡ, 「籒文과 石鼓文의 관계 考察」, 『중국어문학논집』 제66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11.
이상기, 「『석고문』의 각석연대 및 자형상의 특징고」, 『중국연구』 제23권,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1999.
이상현, 「한글의 기원과 『훈민정음』의 흔적」 - 게일의 “The Korean Alphabet”(1912)에 새겨진 서양인 훈민정음 기원론의 역사, 『국제어문』 제72집, 2017.
전병선, 「조선에서 한자를 쓰지 않게 된 경위와 한문교육」, 국립중앙도서관 DB자료, 『중국조선어문』 2001년도 제2호, 길림성 민족사무위원회, 2001.
정화경, 「정초의 『육서략』 연구」, 제주대학교 중어중문학 석사, 2006.
조영진, 「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제44, 45집, 국어국문학회, 1969.
하영삼, 「초정 박제가의 《육서책》 역주」, 『중국학』 제17집, 대한중국학회, 2002.
홍윤표, 「한글 자형의 표준화에 대하여」, 『국어생활』 ‘89가을(제18호), 1989.
ㅡㅡㅡ, 「훈민정음의 ‘상형이자방고전’에 대하여」, 『국어학』 46, 국어학회, 2005.
ㅡㅡㅡ, 「한글에 대한 연구과제」,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기념 국제학술대회 『국외학자가 이야기 하는 한글, 한글 자료』, 국립한글박물관, 2014.
ㅡㅡㅡ, 「한글로 한자를 배우다」, 국립한글박물관, 2019. 8월.
https://inkbook-1.tistory.com/12861524?category=1071639
2022년도
최현배, 한글갈, 정음문화사, 1940.
신숙주 외, 홍무정운 역훈, 고려대학교 소장 DB, 1455.
---
이제 그만 일어나고 싶다.
물 속에 엎디어 있는 날 손을 잡아 일으켜줬으면 좋겠다.
'서예 > 자방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현배선생 한글갈 머리말 (0) | 2023.03.22 |
---|---|
최현배 한글갈 떼빠나가리- 긴냇 권영환, 영도체 (0) | 2023.02.09 |
한글날은 왜 10월 9일이 되었을까 (0) | 2021.10.06 |
자방고전 풀이 (0) | 2021.01.22 |
언문 의문 - 자방고전, 나랏말씀이 중국과 달라, 될 위(爲) (0) | 2020.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