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자방고전 풀이』,
『세종의 언문 연구』에 이은
세 번 째 책이다.
한문 그대로 노출된 전문 연구 서적이다.
목 차
자방고전 공부 앞에서 11
언문 방고전과 대전 육서도의 관련성 연구
머 리 말 25
古篆 서체와 龍飛의 전거 탐구 41
象形而字倣古篆의 해석
1. 육서와 언문의 상형 지사 분별론 65
2. 形으로 象한 字는 古篆에 倣한다 71
3. 聲으로 因한 音은 七調에 叶한다 83
六書本義圖考와 諺文 창제와의 관련성
1. 「이모통자지도」에서의 ‘日’과 ‘ㆍ’의 역할 101
2. 「이자해모지도」로부터의 창의 109
3. 「육의상관도」로부터 발음 모양 상형 창제 117
4. 「해성류가도」와 열세 개의 언문 번뉴 131
마 무 리 141
참고문헌 / 영문초록 149
부 록
최현배 『한글갈』 「ㆍ字 소리값 상고」 157
둘째 매 理 論 篇
(첫째 가름 『訓民正音』의 通解)
둘째 가름 없어진 글자의 상고
(첫째 조각 한글의 字數 및 차레(*?)의 變遷)
둘째 조각 「ㆍ」字의 소리값 상고
첫째 목 「ㆍ」字에 關한 古今 學者들의 學說
(一) 鄭麟趾 무리의 說 159
(二) 申叔舟의 다룸(取扱) 163
(三) 申景濬의 說 166
(四) 柳僖의 說 170
(五) 周時經의 說 171
(六) 李能和의 說 177
(七) 小倉進平 博士의 說 181
(八) 李克魯의 說 183
(九) 金碩坤의 說 185
(十) 李崇寧의 說 186
첫째, 『音韻變化에서 본 「ㆍ」音價 推定』 論述 要旨 187
둘째, 『朝鮮語 Umlaut 現象과 「ㆍ」音 推定』論述 要旨 194
셋째, 『「ㆍ」音 消失의 時期』 論述 要旨 195
둘째 목 「ㆍ」소리의 變遷과 混用 204
(一) 「ㆍ」의 古今의 바꾸힘의 調査 205
(二) 「ㆍ」의 同時的 및 異時的 섞어씀(混用)의 調査 214
첫째로, 옛말의 토에서 「ㆍ」와 「ㅡ」 섞어씀 215
둘째로, 생각씨(觀念詞)에서 「ㆍ」와 「ㅡ」 섞어쓴 것 220
세째로, 「ㆍ」와 ㅏ와를 섞어쓴 보기 228
네째로, 「ㆍ」와 「ㅗ」와를 섞어쓴 보기 232
다섯째로, 「ㆍ」와 ㅓ와의 섞어쓰힘 233
여섯째로, 「ㆍ」와 다른 소리와의 섞김 낱말의 셈 234
셋째 목 맺음 「ㆍ」의 소리값 234
네째 목 「ㆍ」소리의 없어진 時期 242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반절번뉴변증설」 249
'서예 > 자방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까이는 몸에서 취하고... 수는 이치를 벗어나지 않으며... (4) | 2025.04.11 |
---|---|
저작권위원회 - 자경문 (3) | 2024.11.13 |
구도의 길 - 염교 해 薤 (2) | 2024.10.13 |
미시 일정 - 최현배 선생 묘 (0) | 2024.10.03 |
세종의 독서 - 역 계사전 겸괘 (0) | 2024.06.13 |